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1주택자를 위한 3기 신도시 청약 준비 Q&A

by 제이제이 99 2022. 5. 18.

청약은, 특히 공공이 주도하는 청약은 1주택자는 제외한다고 생각하지만 1주택자도 가능한 물량이 있다. 특히 3기 신도시처럼 대량으로 분양하는 경우 그 기회가 더 커진다. 그런데 정리하려고 해도 관련 기사를 보면 자꾸 잊어버린다. 그래서 내가 보려고 준비했다. 1주택자를 위한 3기 신도시 청약 Q&A

 

부동산원 청약홈

 

 

 

Q 공공택지 내 분양은 전부 공공분양일까?

아니다. 공공이 분양하는 경우민간이 분양하는 경우로 나뉜다. 1주택자는 전자에는 도전할 수 없지만 후자에는 도전할 수 있다.

 

공공분양: 무주택에게만 기회 부여

민간분양: 소형면적은 무주택만 가능, 대형면적은 1주택자도 청약 가능 (단 공공분양은 대형면적이라 해도 1주택자는 제외된다. 무주택만 가능)

 

Q. 그럼 사전청약은? 공공분양에 대해서만 진행할까?

아니다. 공공분양과 민간분양 모두 실시한다. 단 민간분양은 토지 소유권이 모두 이전된 후에 실시할 수 있고 공공분양 사전청약은 그 이전에도 할 수 있어서 민간분양 사전청약이 좀 더 늦게 나온다.

 

Q. 1주택자가 도전할 수 있는 청약은?

민간분양의 85제곱미터 이상 대형면적이다.

 

Q. 물량은 얼마나 풀릴까?

청약에서 85제곱미터가 초과하는 민영주택은 50%는 무주택자에게, 50% 1주택자에게 기회를 준다. 그리고 추첨제로 진행하기 때문에 청약 점수가 높지 않아도 된다. , 떨어진 무주택자는 자동으로 1주택자 추첨분에서 서로 경쟁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, 1주택자의 당첨확률은 그만큼 낮아진다.

 

Q. 사전청약 시 자금은 얼마나 마련해야 하나?

마련할 필요가 없다. 본청약까지 내야 할 금액이 없기 때문. 본청약까지 1년 넘게 시간이 있으므로 천천히 준비하면 된다.

 

Q. 사전청약 당첨률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?

청약은 해당지역 거주자와 비거주자로 나뉜다. 3기 신도시의 경우 청약 자체를 수도권 인구만 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하는 인구의 숫자가 정해지는데 여기서 해당지역에 거주자가 되면 경쟁률이 더 줄어드는 셈이다. 예컨대 남양주 왕숙지구의 경우 남양주 거주자끼리 경쟁하고 나머지 (서울, 인천, 경기도 기타지역)가 경쟁하는 셈이다. 따라서 미리 이사를 가면 당첨확률을 높일 수 있다.

 

Q. 이사는 언제?

거주지 산정기간은 3기 신도시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다.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2년까지 거주했는지 여부를 따진다. 그런데 그 기준이 본청약 전까지라는 게 포인트. 따라서 사전청약때 그 기간을 채울 필요는 없다. (단 사전청약 시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있긴 해야 함)

예컨대 2023 6월에 사전청약이고 본청약에 2024 12월인 경우, 채워야 할 거주기간이 6개월이라면 23 5월에 이사가도 된다. 본청약 전에 거주기간이 채워지기 때문. 하지만 거주기간이 2년이라면 22 11월에는 이사를 가야 한다.

 

Q. 그밖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?

하나, 1주택자로 사전청약과 청약을 응하는 경우, 입주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기존 주택을 처분해야 한다. 따라서 오래 가지고갈 집이라면 청약을 도전하지 않는 게 좋다. 만약 처분할 생각이라면 청약 계약이 완료된 이후에 시간을 갖고 처분을 고려해야 한다.

 

, 공공분양 사전청약은 청약이 되고 나서도 마음대로 다른 청약에 도전할 수 있지만, 민간분양 사전청약은 사전청약 당첨분 취소가 선행되어야 다른 청약에 도전할 수 있다.

 

, 사전청약은 실제 청약이 아니므로 본청약이 있을 때까지 기존 조건을 유지해야 한다. 무주택자는 무주택자 기준을, 유주택자는 그 조건을 그대로 가져가야 한다.

 

 

 

댓글


"); wcs_do();